다양한 운동 종목 선수들의 15초 스프린트 에너지 시스템 분석
다양한 운동 종목 선수들의 15초 스프린트 에너지 시스템 분석
이 포스팅은 2024년, PeerJ에 게재된 '[The contribution of energy systems during 15-second sprint exercise in athletes of different sports specializations]' 논문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주제 소개 및 중요성
이 논문은 다양한 운동 종목(지구력, 속도-파워, 혼합)의 선수들이 15초 스프린트 운동을 할 때 에너지 시스템의 기여도 차이를 비교 분석합니다. 선수들의 운동 종목 특성이 스프린트 시 에너지 사용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훈련 과정에서 이러한 에너지 시스템의 기여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연구는 각 운동 종목에 맞는 훈련 전략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존 연구 분석
이전 연구들은 스프린트 운동 중 에너지 시스템의 기여도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특정 운동 종목 선수들을 대상으로 장기간 훈련이 에너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했습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자 합니다.
분석 내용 및 주요 발견 사항
• 연구 대상: 지구력, 속도-파워, 혼합 종목 선수 각각 17명, 14명, 19명이 참여했습니다.
• 연구 방법: 선수들은 15초 전력 스프린트 테스트(Wingate test)를 실시했고, 훈련 기간 전후로 에너지 시스템의 기여도를 분석했습니다. phosphagen, glycolytic, aerobic 시스템의 기여도를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PCr-LA-O2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했습니다.
• 결과: • 지구력 선수: phosphagen 시스템(47%)과 glycolytic 시스템(41%)의 기여도가 높았고, aerobic 시스템(12%)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 속도-파워 선수: glycolytic 시스템(57%)의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phosphagen 시스템(35%)과 aerobic 시스템(8%)의 기여도는 낮았습니다. • 혼합 종목 선수: phosphagen 시스템(45%)과 glycolytic 시스템(48%)의 기여도가 비슷했고, aerobic 시스템(7%)의 기여도는 낮았습니다. • 훈련 효과: 일반적인 준비 단계 이후, 지구력 선수들의 에너지 시스템 기여도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속도-파워 선수들과 혼합 종목 선수들은 aerobic 시스템의 기여도가 다소 감소했습니다. 특히 30-40대 참가자 그룹에서 가장 큰 향상을 보였으며, 이는 장기간 훈련의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팀 스포츠 선수의 경우 aerobic 시스템의 기여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p=0.048).
• 전문 용어 설명: • phosphagen 시스템: ATP와 크레아틴 인산(PCr)을 이용하여 빠르게 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마치 급속 충전 배터리처럼) • glycolytic 시스템: 혈당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마치 중간 속도로 운전하는 것처럼) • aerobic 시스템: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마치 자동차 엔진이 오랫동안 작동하는 것처럼) • PCr-LA-O2 방법: 혈중 크레아틴 인산(PCr), 젖산(LA), 산소 섭취량(O2)을 측정하여 에너지 시스템의 기여도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 젖산 역치: 운동 강도가 높아져서 근육에 피로물질이 급격히 쌓이기 시작하는 시점입니다. • 임계 속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속도, 마라톤 선수가 완주할 때 유지하는 속도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결론
이 연구는 운동 종목 특성에 따라 15초 스프린트 시 에너지 시스템의 기여도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지구력 선수는 phosphagen과 glycolytic 시스템을, 속도-파워 선수는 glycolytic 시스템을, 혼합 종목 선수는 phosphagen과 glycolytic 시스템을 주로 사용합니다. 훈련 과정에서 선수들의 에너지 시스템 기여도는 장기적인 적응을 보여주는 안정적인 패턴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각 운동 종목에 맞는 훈련 전략을 세우는 데 이 연구 결과가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 다양한 운동 종목과 훈련 변수를 고려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