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단위 인센티브, 걷기 운동 효과는?
팀 단위 인센티브, 걷기 운동 효과는?
이 포스팅은 2025 년,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에 게재된 '[Effects of group communication norms on daily steps in a team-based financial incentive mobile phone intervention in Shanghai, China.]' 논문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분석 🤔
중국 상하이에서 직장인을 대상으로 팀 단위의 재정적 인센티브를 활용한 모바일 앱 기반의 걷기 운동 프로그램 효과를 조사한 연구입니다. 이 연구는 걷기 운동 증진에 있어서 팀 간 소통 방식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봅니다. 쉽게 말해, 팀원들끼리 서로 얼마나 격려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피드백을 주고받는지가 걷기 운동 참여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인 것이죠.
연구 방법 🔬
13주 동안 상하이 32개 직장의 2,985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 개입 집단 (n=2,049): 하루 1만 보 걷기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 시 포인트를 지급하여 팀 순위와 재정적 보상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팀원 간 소통을 위한 위챗 그룹을 만들어 활용했습니다. 소통 유형은 격려(nudging), 목표 공유(sharing), 피드백(feedback), 기타(other) 등 네 가지로 분류했습니다.
- 대조군 (n=936): 단순히 걷기 앱을 이용해 걸음 수를 기록하는 그룹으로, 소통 활동이 없었습니다.
연구 결과 📊
- 개입 집단의 주간 평균 걸음 수는 2,523보 증가했지만, 대조군은 470보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 프로그램 초기 3주 동안 주당 7~18회의 격려 메시지는 걸음 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주당 3회 이상 목표 공유도 같은 효과를 보였습니다.
- 6주와 13주 추적 결과, 주당 19회 이상의 격려 메시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목표 공유와 피드백은 오히려 걸음 수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연구 신뢰성 🤔
연구 참여자 수가 상당히 많고, 13주라는 긴 기간 동안 데이터를 수집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신뢰도는 높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개입 집단과 대조군을 명확히 구분하고, 소통 유형을 세분화하여 분석한 점도 장점입니다. 하지만, 실험이 특정 지역(상하이)에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연구 한계 🚧
- 연구가 중국 상하이에서 특정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다른 문화권이나 직종, 연령대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 걷기 운동 목표 달성에 대한 개인적인 동기 부여나 건강 상태 등의 변수를 통제하지 못했습니다.
- 위챗 그룹 내 소통 유형 분류에 대한 주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모든 참여자의 앱 사용 빈도나 정확도에 대한 통제가 부족합니다.
결론 📝
팀 단위의 재정적 인센티브를 활용한 모바일 앱 기반의 걷기 운동 프로그램은 걸음 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팀원 간의 격려(nudging) 메시지는 장기적으로 걸음 수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목표 공유와 피드백은 초기에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설계 시 팀원 간 소통 방식을 고려하고, 격려와 지지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개인적인 동기 부여와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합니다. 걷기 운동을 위한 팀 단위 인센티브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소통 방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연구는 걷기 운동 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